심각한 학생 행동의 문제
- Sang Lee
- Mar 30
- 2 min read
심각한 학생 행동의 문제
(2025/03/27) - 존 스톤스트리트
1. 영어 오디오 및 원문 스크립트
2. 한국어 오디오 및 번역 스크립트
(1) 한국어 오디오 : https://youtu.be/Lp2e4LRvq2M
(2) 번역 스크립트 :
보수주의자들은 공립학교의 시스템적 실패를 '워크(Woke)'와 교육을 가장한 진보적 세뇌 탓으로 돌리곤 한다. 당연히 그렇다. 그러나 학교를 괴롭히는 또 다른 광범위하고 근본적인 문제는 학생들이 교실에서 하는 파괴적인 행동이다. 미국 심리학회에서 실시한 코로나19 이후 약 15,000명의 유초중고 교사, 관리자, 교직원, 상담사를 대상으로 상담 조사를 실시했다.
"교사의 33%가 언어적 괴롭힘이나 폭력 사건을 한 번 이상 보고했으며, 학교 상담사의 18%, 학교 관리자의 15%, 기타 교직원의 22%가 학생에 의한 폭력 사건을 한 번 이상 보고했다."
또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체 교사의 약 50%가 학교에서 안전 문제로 교직을 그만두거나 전근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실 안팎에서 발생하는 학생 행동 문제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물론 가정의 광범위한 붕괴다. 그러나 비판 이론에 기반한 행동 전략을 채택한 것이 문제를 더욱 악화시켰다. 이러한 행동 조정 접근법은 종종 사회적 및 정서적 학습, 교육에서의 회복적 정의, 회복적 훈육과 같은 이름으로 불린다. 제목에 기독교적으로 들리는 '회복'이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러한 접근 방식은 공정성, 공감, 억압, 특권, 정의, 포용을 재정의한 개념을 중심으로 한다. 일부 학교에서는 이러한 아이디어가 커리큘럼의 모든 부분, 심지어 수학에도 반영되어 있다. 세속적 교육 모델은 자연주의적 세계관, 특히 창조주 없이 존재하는 인간은 자연스럽게 친절, 이타주의, 공정성을 지향한다고 주장하는 세속적 인본주의에서 작동한다. 이 관점에서는 학생은 나쁜 행동에 대한 책임이 있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피해자라고 생각한다. 학생들은 부모들이 대개 지지하지 않는 심각한 결과에 직면하기보다는, 이해받고 정의롭게 행동하라는 이야기만 듣는다.
기독교 세계관은 인간 관계에 대한 근본적으로 다른 이해를 제공하며, 인간 관계에서 무엇이 깨졌는지, 어떻게 회복될 수 있는지 알려준다. 성경의 첫 장에 따르면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존재의 핵심은 우리 모두가 하나님, 우리 자신, 다른 사람, 나머지 피조물과 맺고 있는 관계다. 하나님이 본질적으로 성부, 성자, 성령의 관계이신 것처럼 인간도 단순히 관계를 맺는 존재가 아니라 관계 그 자체이다. 따라서 우리 문제의 핵심은 타락으로 인해 깨어진 관계의 회복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인간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인간의 행동을 다루는 데 훨씬 더 정확한 맥락을 제공한다. 자연주의적 세계관에서 인간은 고도로 기능하는 동물이다. 따라서 갈등 해결은 실용주의의 문제이며, 마치 학생의 행동은 누구도 실제로 "유죄"가 아니며, 광범위한 징계 정책을 통해 교정될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실용주의적 접근 방식은, 특히 허용 가능한 행동에 대한 시스템의 성향을 고려할 때, 단기적으로는 효과가 있을 수 있지만, 인간의 핵심을 다루지는 못한다.
인간 사회의 다른 모든 측면과 마찬가지로, 교실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행동 문제의 근본 원인은 깨어진 관계다. 기독교 교육가들은 지속적인 변화에 필요한 화해와 회복을 제공하는 근본적인 깨어진 관계를 다룰 수 있는 더 나은 틀을 가지고 있다. 재구성된 세속적 모듈이 약속한 결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주된 이유는 인간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T.S. 엘리엇이 관찰했듯이 "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모든 대답은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우선하는 질문에 대한 대답에 기초한다.
교육 현실에 대한 광범위한 환멸은 크리스천들에게 놀라운 기회를 제공한다. 그러나 기독교 교육은 실질적으로 더 나은 무언가를 제공해야 한다. 콜슨 교육자 프로그램은 기독교 교사들이 차별화된 더 나은 것을 제공할 수 있도록 양성한다. 교육자들은 무료 온라인 자기 주도형 과정인 "세계관 형성 기초" 프로그램부터 시작할 수 있다. 세계관 형성의 궁극적인 목표를 이해하고, 기독교 세계관을 통합하는 수업을 개발하며, 학생들의 신앙이 성장할 수 있는 교실 문화를 조성해 보기 바란다. 지금 colsoneducators.org에서 "세계관 형성 과정"에 등록할 수 있다.
Comments